병원에서 길을 묻다: 서울대학교병원 안내 서비스 디자인

헬스케어
2021-09-12
Oliver Kim

병원에서 길을 묻다, 서울대학교병원 안내정보서비스디자인, 텀블벅에서 확인하세요.

https://link.tumblbug.com/aZqhCgnjujb

(내용중)
하루 평균 1만 1천여 명의 외래환자가 이용하는 서울대학교병원은 늘 혼잡합니다. 종합병원 특성상 넓은 공간에 여러 진료 센터가 모여 있다 보니, 병원 이용 빈도가 잦은 노약자는 물론이고 일반 방문객들 역시 원하는 진료나 검사를 받기 위해 길을 찾아가는 과정은 그 자체만으로 힘이 듭니다.
환자의 진료 과정은 대부분 한 장소가 아닌 여러 장소를 거치며 진행됩니다. 그런 이유로 한 단계의 진료 과정이 마무리되면 환자는 간호사에게 다음 진료에 관해 안내받고 길목에 설치되어 있는 길 안내 사이니지의 도움을 받아 다음 진료 장소를 찾아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길 안내 정보가 환자에게 어떻게 전달되는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가 병원에서 경험하는 모든 과정은 곧 병원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중략)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훌륭하게 성공시키려면, 오프라인 경험과 동일한 경험을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것 이상의 +a가 필요하다.

특히 상급종합병원 환자 진료과정은 국내 중증질환자들과 대부분의 병원에서 설계하는 오프라인 의료 경험의 기준이 된다.
이러한 기준을 가진 환자와 공급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환자 진료과정 또는 안내를 어떻게 훌륭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서비스할까? 디자인할까(UX)?'라는 고민과 질문이 머릿속에 계속 남아있는데 이에 대한 퍼즐 조각을 하나 찾은 기분이 드는 책(프로젝트)이다.

Other posts

지난 20일에 발표된 식약처 공고에 따르면, 한국의 SaMD(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이른바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변경이 05월부턴 쉬워진다고 한다. 현재 등록(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약 15개 수준이며, 임상 또한 약 20여건 정도를 진행하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식약처가 해당 분야를 뒤늦게나마 키워보려고 허가 절차와 이번엔 변경 절차까지 간소화하여, 해당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것 같지만. 골든타임은 지나고있다.
2020-03-26
헬스케어

한국 SaMD 의료기기 규제 및 승인 현황

지난 20일에 발표된 식약처 공고에 따르면, 한국의 SaMD(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이른바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변경이 05월부턴 쉬워진다고 한다. 현재 등록(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약 15개 수준이며, 임상 또한 약 20여건 정도를 진행하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식약처가 해당 분야를 뒤늦게나마 키워보려고 허가 절차와 이번엔 변경 절차까지 간소화하여, 해당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것 같지만. 골든타임은 지나고있다.

Read more
2020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인터뷰를 통해 “가정에서 피검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라며, 선언을 했다. 그 뒤 원격의료 기반 헬스케어 벤처를 창업하기 위해, 셀트리온을 떠나 미국에서 자리 잡는다고 하였다.
실제 지난 회사에서 혈액 검사 플랫폼을 개발해 본 경험에 비추어서 전망을 살펴보려고 한다.
2022-03-06
헬스케어

서정진 회장은 체외 진단 시장에서 제2의 셀트리온을 만들 수 있을까?

2020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인터뷰를 통해 “가정에서 피검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라며, 선언을 했다. 그 뒤 원격의료 기반 헬스케어 벤처를 창업하기 위해, 셀트리온을 떠나 미국에서 자리 잡는다고 하였다. 실제 지난 회사에서 혈액 검사 플랫폼을 개발해 본 경험에 비추어서 전망을 살펴보려고 한다.

Read more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는 2010년대를 주도하는 큰 흐름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의 시작을 알렸다.
2021-07-23
비즈니스

쏘카 패스포트 출시: 자동차 공유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는 2010년대를 주도하는 큰 흐름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의 시작을 알렸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