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운영 문제로 병원 원장에게 사과한 약사, 무슨 일이?

헬스케어
2021-07-18
Oliver Kim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286327_34936.html

이러한 기사만으로 지역 의원(병원)과 약사의 관계를 일반화 시킬 수 없지만, 약사가 갖고 있는 눈치와 부담은 충분히 공감이 된다.

과거 약국에 의료기기를 제안하러 다닐 때
약사분들의 말을 돌이켜보면 상품명 처방에 따른 의약품 관리 부담, 병원의 홍보비 명목 지원금 요구 등 부담을 갖고,
약국 운영을 하는 와중에도 약국 리모델링, 인테리어를 새로 해 가정용 의료기기와 건기식 상품을 구비해두며 수익 창출을 꾀하고 있을 만큼 고민이 컸다.

기존 세대의 약사들은 약국 경쟁과 의사들의 요구에 지쳐있었고,
젊은 세대의 약사들은 열심히 노력한 20대의 보상과 명예가 달콤하지 않다는 것을 느끼는 것에 화가 나 있었는데, 최근 의약품 배달 이슈 또한 이 관점에서 보면 약사들의 분노 지점도 알 것 같다.

정부-의사-약사-산업계 모두가 물러서지 않고 불만만 얘기하는 상황에서, 타협과 협의가 안되니 잘못된 시스템을 바꾸지도 못하고, 바뀌지 않고 있다.

지금 국내와 이 산업의 최대 첼린지다.


Other posts

아직 국내 통신사들은 핵심 역량인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사업과 지원(개발)을 안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밑바닥을 만들어 주도하려는 것이 아닌, '그룹 내 헬스케어 키워드를 위한 서비스' 수준으로 느껴져 아쉬움이 크다. (Verizon, AT&T, NTT 등이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들과 같은 방향을 기대하고 있지만.)
2021-06-14
헬스케어

통신사와 카카오 네이버의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

아직 국내 통신사들은 핵심 역량인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사업과 지원(개발)을 안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밑바닥을 만들어 주도하려는 것이 아닌, '그룹 내 헬스케어 키워드를 위한 서비스' 수준으로 느껴져 아쉬움이 크다. (Verizon, AT&T, NTT 등이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들과 같은 방향을 기대하고 있지만.)

Read more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는 2010년대를 주도하는 큰 흐름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의 시작을 알렸다.
2021-07-23
비즈니스

쏘카 패스포트 출시: 자동차 공유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는 2010년대를 주도하는 큰 흐름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의 시작을 알렸다.

Read more
코로나이후 Remote, Home, Self 3가지가 조합된 비즈니스는 지속적으로 전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 확장되고 있으며 심리적, 제도적 장벽이 낮아져 점차 메인스트림 혹은 엔트리 마켓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받는 환경이 개인적인 공간(집 등)이라는 점에서 주요 고객의 서비스 사용 공간에 대한 이해와 설계가 중요하게 느껴진다. - 유현준 홍익대 건축학과 교수님의 글에서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변했지만, 특히 공간을 주목해야 한다고 한다. 통계를 보면 평균 중산층의 집 면적은 과거보다 1.X배 이상 커졌지만, 가족 구성원수는 줄었다.
2021-06-12
비즈니스

Remote와 Home의 중심에서 공간 경험의 역할

코로나이후 Remote, Home, Self 3가지가 조합된 비즈니스는 지속적으로 전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 확장되고 있으며 심리적, 제도적 장벽이 낮아져 점차 메인스트림 혹은 엔트리 마켓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받는 환경이 개인적인 공간(집 등)이라는 점에서 주요 고객의 서비스 사용 공간에 대한 이해와 설계가 중요하게 느껴진다. - 유현준 홍익대 건축학과 교수님의 글에서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변했지만, 특히 공간을 주목해야 한다고 한다. 통계를 보면 평균 중산층의 집 면적은 과거보다 1.X배 이상 커졌지만, 가족 구성원수는 줄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