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와 카카오 네이버의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

헬스케어
2021-06-14
Oliver Kim

'2021.06.14(월) 이코노미스트' 에서 통신사와 카카오 네이버의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들을 실었다.

아직 국내 통신사들은 핵심 역량인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사업과 지원(개발)을 안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밑바닥을 만들어 주도하려는 것이 아닌, '그룹 내 헬스케어 키워드를 위한 서비스' 수준으로 느껴져 아쉬움이 크다. (Verizon, AT&T, NTT 등이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들과 같은 방향을 기대하고 있지만.)

카카오, 네이버도 역시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네이버의 경우 라인 헬스케어를 통해 일본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메신저 시장점유율 80% 넘는 서비스에서., 20년 08월 기준으로 누적 상담건수가 30만 건 수준이라고 하니.
(예약건수가 아닌 의사와 직접 텍스트로 상담한 건수이며, 영상 진료의 경우에도 코로나로 온라인 초진까지 허용하여 이용량은 늘었지만 그 숫자가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사회와 사회적 분위기를 감내하면서까지, 서비스를 만들기엔 부담스러울 것이다.

가장 잘할 것 같은 업체들이 이렇게 주춤하는 사이에,
결국 이 시장에 대한 주도권은 넘어가지 않을까?

Other posts

초기 제품팀의 목표는 빠른 반복을 통해 학습 속도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명확한 임팩트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지표를 전진시키는 것들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리소스를 확보해야 합니다. 초기 제품팀의 경우 좋은 품질 기준에 대해 논의하기보단, 제한된 리소스로 학습에 집중하는 것이 PMF를 찾는 저비용 고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기간 동안엔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제품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에 대한 큰 그림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2023-05-29
비즈니스

초기 제품팀의 속도 vs. 품질: 최적의 의사결정 전략

초기 제품팀의 목표는 빠른 반복을 통해 학습 속도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명확한 임팩트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지표를 전진시키는 것들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리소스를 확보해야 합니다. 초기 제품팀의 경우 좋은 품질 기준에 대해 논의하기보단, 제한된 리소스로 학습에 집중하는 것이 PMF를 찾는 저비용 고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기간 동안엔 학습된 데이터를 통해 제품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에 대한 큰 그림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Read more
지난 20일에 발표된 식약처 공고에 따르면, 한국의 SaMD(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이른바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변경이 05월부턴 쉬워진다고 한다. 현재 등록(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약 15개 수준이며, 임상 또한 약 20여건 정도를 진행하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식약처가 해당 분야를 뒤늦게나마 키워보려고 허가 절차와 이번엔 변경 절차까지 간소화하여, 해당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것 같지만. 골든타임은 지나고있다.
2020-03-26
헬스케어

한국 SaMD 의료기기 규제 및 승인 현황

지난 20일에 발표된 식약처 공고에 따르면, 한국의 SaMD(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이른바 혁신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변경이 05월부턴 쉬워진다고 한다. 현재 등록(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약 15개 수준이며, 임상 또한 약 20여건 정도를 진행하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식약처가 해당 분야를 뒤늦게나마 키워보려고 허가 절차와 이번엔 변경 절차까지 간소화하여, 해당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것 같지만. 골든타임은 지나고있다.

Read more
어제 CB insight에서 21.2Q Telehealth 부분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발행했다.
2021-07-30
헬스케어

CB Insights 2021 Q2 Telehealth 리포트: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

어제 CB insight에서 21.2Q Telehealth 부분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발행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