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웨이" 분석: 게임 기업의 혁신 전략

경영 / 조직관리
2021-07-27
Oliver Kim

최근 심심치 않게 책 <크래프톤 웨이>에 대한 감상평과 소감들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이번 주말 동안 쉬지 않고 읽어봤다. 마치 블루홀에 빠져들어가는 기분이었다.

좋은 글 짜임새와 구성은 뒤로하고,
안에 담긴 스토리와 내용 전개는 너무 현실적이어서, 오히려 드라마 같았다.

가장 큰 울림을 받은 단락은
김창한 대표의 '펍지의 목표 또는 비전에 대하여'란 제목의 메일이었다.(516p)
배틀 그라운드 출시 초기에 끝을 모르는 바람을 느끼며, 기회에 올라타기 위해 총력을 쏟으려는 김창한 대표가 경영진에 지원을 요청하지만, 보수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경영진을 향한 분노와 적대감을 쏟아내는 글에서 엄청난 힘이 느껴졌는데, 그중 몇 문장만 꼽자면,
- '제품과 고객(마켓), 이 2가지 요소만이 본질적인 요소'
- '저는 이것을 이룰 때까지 모든 것을 바칠 각오가 되어 있습니다.'
- '어렵게 해낸 일만이 가치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책에서 인재와 노동자의 인식, 애송이와 프로의 차이, 리더십, 일의 태도, 경영진의 태도, 재미의 평가 등
최근 읽은 책 중에 가장 피부에 와닿고, 적용 가능한 경영서였다.

성공은 쫓는 것이 아니라는 것.
혁신도 쫓는 것이 아니라는 것.
남들과 다른 길만을 고집하지 않는 것.
내 길을 스스로 정하고 끝까지 걸어가는 것.
결국 본질이다.

Other posts

하루 평균 1만 1천여 명의 외래환자가 이용하는 서울대학교병원은 늘 혼잡합니다. 종합병원 특성상 넓은 공간에 여러 진료 센터가 모여 있다 보니, 병원 이용 빈도가 잦은 노약자는 물론이고 일반 방문객들 역시 원하는 진료나 검사를 받기 위해 길을 찾아가는 과정은 그 자체만으로 힘이 듭니다.
2021-09-12
헬스케어

병원에서 길을 묻다: 서울대학교병원 안내 서비스 디자인

하루 평균 1만 1천여 명의 외래환자가 이용하는 서울대학교병원은 늘 혼잡합니다. 종합병원 특성상 넓은 공간에 여러 진료 센터가 모여 있다 보니, 병원 이용 빈도가 잦은 노약자는 물론이고 일반 방문객들 역시 원하는 진료나 검사를 받기 위해 길을 찾아가는 과정은 그 자체만으로 힘이 듭니다.

Read more
NEJM에 재밌는 논문이 출판되었다.
사람의 생애주기 동안 건강을 관리하고, 의료와 상호작용하는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경로를 오케스트레이션 모델로 구성하였다.
사람이 살면서 건강을 꾸준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힘들며, 의료(또는 의료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며 우리는 좋은 건강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2022-02-07
헬스케어

건강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케스트레이션 모델이란?

NEJM에 재밌는 논문이 출판되었다. 사람의 생애주기 동안 건강을 관리하고, 의료와 상호작용하는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경로를 오케스트레이션 모델로 구성하였다. 사람이 살면서 건강을 꾸준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힘들며, 의료(또는 의료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며 우리는 좋은 건강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Read more

즉, 고객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Input Metrics) -> 북극성 지표 성장 -> 기업 목표 달성(비즈니스 성공)
이러한 연결을 갖추고 우리는 북극성 지표 성장을 관리해야 합니다.
*만일 북극성 지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만 기업 목표와 부합되지 않는다면 다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2-03-01
비즈니스

북극성 지표를 활용한 성장 전략과 사례 분석

즉, 고객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Input Metrics) -> 북극성 지표 성장 -> 기업 목표 달성(비즈니스 성공) 이러한 연결을 갖추고 우리는 북극성 지표 성장을 관리해야 합니다. *만일 북극성 지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만 기업 목표와 부합되지 않는다면 다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