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고 빠르며 저렴한 방문·긴급 진료 서비스, Dispatch Health

헬스케어
2021-09-09
Oliver Kim

쉽고, 빠르고, 저렴한 고품질 방문/긴급 진료 서비스 Dispatch Health

- DispatchHealth(2013년 설립)
- Colorado, United States
- Total Funding $403.2M
- Revenue $8M(추정)

DispatchHealth는 집 또는 직장에서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빠르고 쉽고 저렴하게(Quick, easy, affordable) 받을 수 있도록 on-demand 방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자가 App을 통해 방문 진료 요청을 하면, Doctor, EMT가 증상을 1차 체크하고 Nurse practitioner, physician assistant 2명이 지시에 따라 2시간 이내 방문하여 진료를 봐주고 있다.
주된 진료 항목으로는 Flu, Weakness, Anxiety, Eye, Skin, Respiratory, Digestive, Cardiology 등 symptom + medical device(rapid test 포함) + pharma를 통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질병 군들을 전부 가져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발생하는 진료비가 건당 $5(medicare) - $50(non-insurance)의 비용이 책정되며, 홈페이지 내용에 따르면 약 월 2만 건 정도의 진료가 발생하고 있으니. $800,000/month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 기업의 핵심 역량은 서비스 제공 지역의 보험사와 협력을 맺어, 환자가 저렴한 비용으로-보험 적용이 가능한 진료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에 있다.
그리고 상황별 환자 관리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접수 과정에서 판별을 해
'처리할 수 있는' -> '방문 진료 서비스를 통해 치료 또는 증상 완화가 가능한 범위'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접수할 수 없는 진료 범위의 경우 응급실로 안내한다.
미국에서 의사를 만나려면 평균 14 - 17일 정도 걸리고, 전문의 진료는 더 오래 걸린다. 심각성은 없으나, 긴급을 요하는 진료의 경우엔 응급실을 방문하면 많은 의료비가 발생하니 부담을 갖게된다.
이러한 의료 간극을 메꿔주기 위해 DispatchHealth와 같은 긴급 방문 진료 서비스가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다.
그리고 NPS(Net Promoter Score) 95라는 점수를 강조하고 있다. (자료에서 말하길 'Healthcare NPS average < 30'이라고 하는걸 보면, 이 영역에서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 2개가 핵심 value
- On-Demand Acute Care, 응급 진료 진단 및 치료
- Bridge Care - 1차 진료 연장

우리나라에선 On-demand acute care의 대표적으로 119가 있다.
추가로 심각성은 없으나, 긴급을 요하는 경증 질환의 영역과 의료 접근성이 떨어진 곳에선 needs가 있을 수 있지만. business로 풀어내기엔 숙제가 많다.

하지만 Bridge care + home care 는 치료의 연속성과 환자 관리 프로토콜에서 중요하게 작동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만성질환과 최근 국가시범사업으로 운영한다는 결핵 환자 대상 비대면 관리, STD 검사 후 상담-> 처방 등의 범위에서
DispatchHealth처럼 직접적인 의료행위자가 되진 못하겠지만, 플랫폼이 bridge care solution or tool 역할로 환자와 공급자 사이에서 작동된다면
그리고 특정 질병 치료 프로토콜에 채택된다면 유의미한 결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Other posts

미국 내에서 계속적으로 1차 의료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업들이 혁신적 모델들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다만, 어떠한 모델들이 가장 유용하고 혁신적인지 그리고 임상적 결과가 훌륭한지에 대한 비교와 평가가 없다는 점에서 논문 저자들은 주목했습니다.논문에서는 1차 의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모델들을 분류하고, 범위와 대상 그룹에 따라 의미 있는 비교를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2022-05-15
헬스케어

논문 리뷰 : 미국내 1차 의료 서비스 유형

미국 내에서 계속적으로 1차 의료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업들이 혁신적 모델들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다만, 어떠한 모델들이 가장 유용하고 혁신적인지 그리고 임상적 결과가 훌륭한지에 대한 비교와 평가가 없다는 점에서 논문 저자들은 주목했습니다.논문에서는 1차 의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모델들을 분류하고, 범위와 대상 그룹에 따라 의미 있는 비교를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Read more
개인의 의료 데이터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10은 의료 기록에 대한 데이터, 30은 유전체 데이터, 60은 나머지 생활 속에서 발생되는 라이프로그 데이터라고 볼수있는데, 위 세 개의 데이터들 중에 우리가 현재 의료에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는 EMR(전자차트)에 기록된 전통적인 의료데이터만 활용되고 있고, 유전체 데이터는 아는 것/알려진 것보다 모르는 영역이 많아 전체 환자에게 적용하지 못해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그 밖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는 현재 활용되고 있지 못한다.
2021-10-14
헬스케어

의료 빅데이터의 가능성과 활용 방안

개인의 의료 데이터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10은 의료 기록에 대한 데이터, 30은 유전체 데이터, 60은 나머지 생활 속에서 발생되는 라이프로그 데이터라고 볼수있는데, 위 세 개의 데이터들 중에 우리가 현재 의료에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는 EMR(전자차트)에 기록된 전통적인 의료데이터만 활용되고 있고, 유전체 데이터는 아는 것/알려진 것보다 모르는 영역이 많아 전체 환자에게 적용하지 못해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그 밖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는 현재 활용되고 있지 못한다.

Read more
아직 국내 통신사들은 핵심 역량인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사업과 지원(개발)을 안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밑바닥을 만들어 주도하려는 것이 아닌, '그룹 내 헬스케어 키워드를 위한 서비스' 수준으로 느껴져 아쉬움이 크다. (Verizon, AT&T, NTT 등이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들과 같은 방향을 기대하고 있지만.)
2021-06-14
헬스케어

통신사와 카카오 네이버의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

아직 국내 통신사들은 핵심 역량인 통신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사업과 지원(개발)을 안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밑바닥을 만들어 주도하려는 것이 아닌, '그룹 내 헬스케어 키워드를 위한 서비스' 수준으로 느껴져 아쉬움이 크다. (Verizon, AT&T, NTT 등이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들과 같은 방향을 기대하고 있지만.)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