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K진단키트 확산의 발목을 잡는다

헬스케어
2020-03-23
Oliver Kim

본문 내용 中<<당국의 더딘 승인이 K-진단키트 확산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한 업체 관계자는 “2월 초 긴급사용과 수출허가 승인 신청을 하고 국내 승인통보를 기다리는 사이 이미 유럽 인증(CE) 등 해외 인증을 확보했다”며 “국내 긴급사용은 어렵다 하더라도 이렇게 긴급한 상황에 수출허가마저 늦어지니 물량요청이 들어와도 대응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64개 업체가 사용 승인을 요청했다는데, 4개사만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그러면 나머지 60개에 대한 승인은 왜 안해주는 것일까?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할까?에 대한 질문이 생긴다. 제품에 대한 Method가 PCR이냐 아니면, LFA(흔히 말하는 Rapid test)인지 구분부터 해야한다.
LFA 제품의 경우엔 사실 검토도 필요가 없다. 현재 쓸모가없기 때문이다.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의 경우에도 LFA의 제품의 민감도는 평균 70%수준이다.(Whole blood, plasma 샘플이 아닌점, 불순물 등의 이유로) 고로 LFA와 같은 immunoassay 제품을 지금 검토한다는 것은 인력낭비다. (+LFA(immunoassay)제품이 CE 허가를 받았다는 기사들이 있는데, CE-IVD DoC의 경우 자체 데이터로 증명하는 서류작업이라 막말로 맘만먹으면 받을 수 있다. 고로 기업PR혹은 주가를 위함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니 이러한 제품들을 수출했다가, 퀄리티 이슈로 시장에서 매장당하면 한국 전체 진단업계에 타격이 가게된다.)
그러면, PCR제품은 왜 승인을 안해주는것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신뢰도이다.
1. 현재 PCR 제품으로 매쓰 프로덕션(mass production)을 돌려, 생산중인 제품이 있는지?
2. 그리고 품질이 안정화 되어있는지?
3. 승인을 해주면 정부 공급에 충분한 생산량이 나오는지? 혹은 현재 수준 이상의 공급이 필요한지?
아마 위 고려사항을 중점으로 충분히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으로, 현재 한국은 확진자 발생수도 주춤해지고 상황들이 안정화해 가는 과정에서 굳이 무리하여, 승인건수를 늘리는게 정답이 아니라는 판단일 것이다. 식약처에서 말했듯 신중한 검토를 통해 수출을 하더라도, 한국 진단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퀄리티를 선정할 것이니. 이 부분에 대해선 정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http://www.etoday.co.kr/news/view/1873138

Other posts

어제 CB insight에서 21.2Q Telehealth 부분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발행했다.
2021-07-30
헬스케어

CB Insights 2021 Q2 Telehealth 리포트: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

어제 CB insight에서 21.2Q Telehealth 부분 투자 트렌드 보고서를 발행했다.

Read more
'쿠팡 케어' 1기는 지난 6월에 시작하여, 약 4주간 진행되었다고 한다. 이 기간 동안 혈압·혈당·허리둘레 등 건강지표가 개선된 참가자가 60%에 달했고, 복부 비만이었던 참가자 44.6%가 4주 만에 정상 허리둘레가 됐다고 전한다.
2021-08-04
헬스케어

쿠팡케어: 한국형 커뮤니티 케어의 가능성은?

'쿠팡 케어' 1기는 지난 6월에 시작하여, 약 4주간 진행되었다고 한다. 이 기간 동안 혈압·혈당·허리둘레 등 건강지표가 개선된 참가자가 60%에 달했고, 복부 비만이었던 참가자 44.6%가 4주 만에 정상 허리둘레가 됐다고 전한다.

Read more
과거 약국에 의료기기를 제안하러 다닐 때약사분들의 말을 돌이켜보면 상품명 처방에 따른 의약품 관리 부담, 병원의 홍보비 명목 지원금 요구 등 부담을 갖고,약국 운영을 하는 와중에도 약국 리모델링, 인테리어를 새로 해 가정용 의료기기와 건기식 상품을 구비해두며 수익 창출을 꾀하고 있을 만큼 고민이 컸다.
2021-07-18
헬스케어

약국 운영 문제로 병원 원장에게 사과한 약사, 무슨 일이?

과거 약국에 의료기기를 제안하러 다닐 때약사분들의 말을 돌이켜보면 상품명 처방에 따른 의약품 관리 부담, 병원의 홍보비 명목 지원금 요구 등 부담을 갖고,약국 운영을 하는 와중에도 약국 리모델링, 인테리어를 새로 해 가정용 의료기기와 건기식 상품을 구비해두며 수익 창출을 꾀하고 있을 만큼 고민이 컸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