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가 K진단키트 확산의 발목을 잡는다

헬스케어
2020-03-23
Oliver Kim

본문 내용 中<<당국의 더딘 승인이 K-진단키트 확산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한 업체 관계자는 “2월 초 긴급사용과 수출허가 승인 신청을 하고 국내 승인통보를 기다리는 사이 이미 유럽 인증(CE) 등 해외 인증을 확보했다”며 “국내 긴급사용은 어렵다 하더라도 이렇게 긴급한 상황에 수출허가마저 늦어지니 물량요청이 들어와도 대응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64개 업체가 사용 승인을 요청했다는데, 4개사만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그러면 나머지 60개에 대한 승인은 왜 안해주는 것일까?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할까?에 대한 질문이 생긴다. 제품에 대한 Method가 PCR이냐 아니면, LFA(흔히 말하는 Rapid test)인지 구분부터 해야한다.
LFA 제품의 경우엔 사실 검토도 필요가 없다. 현재 쓸모가없기 때문이다.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의 경우에도 LFA의 제품의 민감도는 평균 70%수준이다.(Whole blood, plasma 샘플이 아닌점, 불순물 등의 이유로) 고로 LFA와 같은 immunoassay 제품을 지금 검토한다는 것은 인력낭비다. (+LFA(immunoassay)제품이 CE 허가를 받았다는 기사들이 있는데, CE-IVD DoC의 경우 자체 데이터로 증명하는 서류작업이라 막말로 맘만먹으면 받을 수 있다. 고로 기업PR혹은 주가를 위함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니 이러한 제품들을 수출했다가, 퀄리티 이슈로 시장에서 매장당하면 한국 전체 진단업계에 타격이 가게된다.)
그러면, PCR제품은 왜 승인을 안해주는것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신뢰도이다.
1. 현재 PCR 제품으로 매쓰 프로덕션(mass production)을 돌려, 생산중인 제품이 있는지?
2. 그리고 품질이 안정화 되어있는지?
3. 승인을 해주면 정부 공급에 충분한 생산량이 나오는지? 혹은 현재 수준 이상의 공급이 필요한지?
아마 위 고려사항을 중점으로 충분히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으로, 현재 한국은 확진자 발생수도 주춤해지고 상황들이 안정화해 가는 과정에서 굳이 무리하여, 승인건수를 늘리는게 정답이 아니라는 판단일 것이다. 식약처에서 말했듯 신중한 검토를 통해 수출을 하더라도, 한국 진단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퀄리티를 선정할 것이니. 이 부분에 대해선 정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http://www.etoday.co.kr/news/view/1873138

Other posts

최근 기사를 통해 버킷플레이스(‘오늘의 집’)가 마켓비 인수를 검토한다는 소식을 접했다.오늘의 집 서비스는 2014년 오픈하여 2년 동안은 인테리어 컨텐츠 전달에 집중했으며, 2016년부터는 커머스 스토어를 오픈하고 지금은 ‘홈퍼니싱’, ‘리모델링’, ‘공유와 발견’이라는 단어들을 서비스에 녹여 원스톱 인테리어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
2021-11-13
비즈니스

마켓비와 오늘의 집, 경쟁 속 전략 비교

최근 기사를 통해 버킷플레이스(‘오늘의 집’)가 마켓비 인수를 검토한다는 소식을 접했다.오늘의 집 서비스는 2014년 오픈하여 2년 동안은 인테리어 컨텐츠 전달에 집중했으며, 2016년부터는 커머스 스토어를 오픈하고 지금은 ‘홈퍼니싱’, ‘리모델링’, ‘공유와 발견’이라는 단어들을 서비스에 녹여 원스톱 인테리어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

Read more
글로벌 의료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지만 기술 기반 서비스, 솔루션시장은 상대적으로 미숙하고 검증되지 않았다.그래서 의료 공급자와 환자에게 서비스의 이점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지 못하면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
2021-08-09
헬스케어

한국 IT 헬스케어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글로벌 의료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지만 기술 기반 서비스, 솔루션시장은 상대적으로 미숙하고 검증되지 않았다.그래서 의료 공급자와 환자에게 서비스의 이점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지 못하면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

Read more
인도네시아 인구는 약 2억 7천만 명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다.하지만 인구 1,000명당 의사가 0.4명에 불과하여(OECD 평균 3.5명, 한국 2.4명*한의사 포함)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다.
2021-08-30
헬스케어

인도네시아 헬스케어 슈퍼앱 후보, Halodoc 분석

인도네시아 인구는 약 2억 7천만 명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다.하지만 인구 1,000명당 의사가 0.4명에 불과하여(OECD 평균 3.5명, 한국 2.4명*한의사 포함)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