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을 향한 사회적 요구, 어디까지 감당해야 할까?

경영 / 조직관리
2021-07-20
Oliver Kim

최근 사회가 기업들에게 던지는 요구 사항들은 가혹할 정도로 부담이 된다.

특히 미국의 경우 바이든 정부의 법인세 인상, 고용주 의료보험비 증가율, ESG 경영 압박 등 신경 써야 할 문제들이 많다.
정부는 COVID-19로 인한 복지 차원의 세수 확대를 위해 기업들을 압박하고,
사회단체는 지구와 공동체를 위한 표면적 노력을 강화하라고 압박한다.
기업 또한 능력이 있으면 충분히 할 의향이 있고, 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 개발에 투자할 비용으로, 위 문제에 대처하다가 다른 기업에 뒤처지게 되는 게 더 큰 리스크이다.

그래서 기업은 경쟁우위를 지키려 계속 비용 절감과 리스크 매니지먼트에 도전을 하며, 생존을 위해 비핵심 인력을 AI로 전환시키고, 남은 인적자본을 통해 기술을 고도화 시켜 제품의 가격을 인상/인하시킨다.

그리고 나면, 가장 큰 비용과 리스크 중 하나인 인재들도 기업에 더 높은 급여와 복지를 요구한다.

결국 기업은 내외부적으로 계속된 압박 속에서 경쟁우위를 지키며, 지속적인 기술력 향상과 제품을 선보여야만 해야 한다.

이런 어려운 상황과 시기에 기업을 영위하는 모든 분들에게 존경을 표한다..

Other posts

최근 Cloud EMR 업체에 대한 Valueation이 과대평가라는 생각이 든다. EMR 시장을 자세히 보면 굉장히 국가-행정적인 업무 효율을 높여주는 솔루션 기능으로 만들어진 제품 시장이다.
2021-11-05
헬스케어

Cloud EMR 기업 가치평가, 과연 적정한가?

최근 Cloud EMR 업체에 대한 Valueation이 과대평가라는 생각이 든다. EMR 시장을 자세히 보면 굉장히 국가-행정적인 업무 효율을 높여주는 솔루션 기능으로 만들어진 제품 시장이다.

Read more
"의학은 과학이지만 의료는 문화다", "그리고 문화는 계속 바뀌고 있다"
2021-06-21
헬스케어

제왕절개로 보는 의료 문화의 변화

"의학은 과학이지만 의료는 문화다", "그리고 문화는 계속 바뀌고 있다"

Read more
최근 $540M로 Series F를 마친 noom의 정세주 대표님의 더밀크 인터뷰를 통해, 이 영역의 성장 속도, 크기가 빠르게 커지며 현재 미국 시장에서 건강 관리에 대한 디지털 경험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
2021-06-01
헬스케어

Noom의 성장 전략 및 540M 투자 분석

최근 $540M로 Series F를 마친 noom의 정세주 대표님의 더밀크 인터뷰를 통해, 이 영역의 성장 속도, 크기가 빠르게 커지며 현재 미국 시장에서 건강 관리에 대한 디지털 경험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

Read more